본문 바로가기
Database/PGSQL

Postgres Admin

by 반화넬 2007. 6. 4.
반응형
postgresql을 1년에 한번 2년에 한번 쓰게되다보니 사용법마저 까먹고 지낸다.

이젠 메모없이는 한계를 느끼니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인간이 아닌가..하고

자학도 해보았다.

이번에는 메모해두고 기억하련다. 또 좋은 일 하시는 님들의 글을 써머리해두어야지..

[kldp 주효식님의 자료를 참조.]

 

포스트그래스큐엘은 2개의 서버 프로세스가 있다.

postmaster와 postgres  postmaster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해 postgres를 실행해주는

데몬 프로세스이다.

 

[pg_ctl]

 

pg_ctl은 postmaster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admin 툴이다.

$ su - postgres

$pg_ctl -w start  (이미 떠 있는 경우는 메시지 출력)

$ pg_ctl restart / stop 등으로 재시작. 정지한다.

 

pg_ctl이 실행시에는 기본적으로

 

$PGDATA/postmaster.opts 파일을 참조한다.

 이 파일은 postmaster와 postgresq의 실시간 옵션을 저장하는 파일이며 "status" 옵션을

 통해서 확인을 할 수 있다.

 

$ pg_ctl status 실행하면 현재 내가 띄워놓은 postgres의 옵션 및 DB 디렉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usr/bin/postmaster '-o' '-F -S 1024' '-i' '-D' '/home/DataBase/pgsql/data'


 

[postmaster Option]

 

-N : max back-end 옵션으로 백엔드 프로세스의 최대갯수를 의미

-B : -N의 최소 두배이어야하며 버퍼를 의미함.

      (일반적으로 -N 32, -B는 64임)

-p : 포트를 의미하며 default 포트는 5432번.

-D :  일반적으로 $PGDATA의 값과 동일.

-o '-F -S 1024' : 특별히 postgres를 위한 옵션으로 -o를 시작으로 하여

                        각 옵션과 옵션사이의 공백을 포함하기 위해 ''로 싸여짐.

                        -F는 fsync()펑션 호출을 disable시키며 이는 각각 트랜잭션 후에

                              데이터를 disk write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시스템의 캐슁을

                              이용하여 일정기간마다 write하므로 속도 향상을 가져옴.

                        -S 1024는 쿼리 sorting을 위한 버퍼사이즈를 1024K만큼 할당하라

                            는 의미이며 default는 512K임. 이 옵션도 속도향상을 시킬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