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리눅스는 유휴 공간을 캐시 영역으로 잡아두는 습성이 있다. (...)[1]
- 실질적인 의미의 메모리사용률을 구하려면 캐시 영역도 유휴 메모리로 봐야 한다. ★
- 명목메모리 사용률 = used / total = ( total - free ) / total
- 실질메모리 사용률 = used2 / total = ( total - free2[2] ) / total = ( total - free - buffers - cached) / total
- free 열의 두번째 행이 실질적인 유휴메모리 용량이다.
예시 1[편집]
[root@localhost1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016828 933428 83400 31380 63516 536812
-/+ buffers/cache: 333100 683728
Swap: 524284 1984 522300
- 전체 용량 = 1016828
- 명목 여유 메모리 = 83400
- 실질 여유 메모리 = 683728 ( = 83400 + 63516 + 536812 )
예시 2 (명목 100%)[편집]
[root@localhost2 ~]# free -g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25 125 0 0 1 96
-/+ buffers/cache: 26 99
Swap: 7 1 6
- 전체 용량 = 125 GB
- 명목 사용량 = 125 GB, 명목 유휴량 = 0 GB, 명목 사용률 = 100.0%
- 실질 사용량 = 26 GB, 실질 유휴량 = 99 GB, 실질 사용률 = 20.8%
반응형